LMR이 LFP를 대체할 수 있을까?
최근 중국산 LFP 배터리가 지배하던 중저가 시장에 대해, 포스코퓨처엠이 LMR(리튬망간리치) 양극재로 반격에 나서며 국내 배터리 업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LMR은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재활용 가치를 가지며, 포스코는 그간 기술적 난관이던 망간 용출 문제를 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과연 LMR이 LFP를 대체할 수 있을지,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?
[ LMR로 대체할 수 있고, LFP 넘어설 기회다 ]
포스코퓨처엠은 새로운 LMR 배터리가 기존의 LFP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33%나 높다고 밝혔어요. 그뿐 아니라 재활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금속의 가치도 더 높다고 합니다.그리고 그동안 골칫거리였던 망간이 빠져나가는 현상(망간 용출)이나 가스가 생기는 문제들도 기술적으로 해결되고 있다고 해요. 또한, 포스코는 2028년까지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전구체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고, 이렇게 되면 중국 의존도 줄이고 공급망의 주도권도 확보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요.
[ 기술력만으로는 LMR로 대체하기에 부족하다 ]
반면,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시각도 있어요.아직 전구체를 대부분 중국에 의존하고 있고, LMR을 제대로 상용화하려면 가스 처리 문제, 재료 밀도 문제 등 기술적으로 해결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는 거죠.게다가 미국이 중국 기업을 우려기업으로 지정하면서, 우리 기업들도 중국 대신 자체 생산이 필요해졌는데, 이게 쉬운 일이 아니에요.무엇보다 최근 몇 년간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이 줄어든 여파가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어서, 기업이 혼자서 버티기엔 너무 힘들다는 주장입니다. 그래서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보조금 같은 재정적인 뒷받침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어요.
여러분 생각을 아래 버튼을 통해 투표해주세요! ( 한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) |